맨위로가기

김광수 (화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광수는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응용화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충남대학교 강사 및 조교수를 거쳐 IBM, 럿거스 대학교, MIT, 컬럼비아 대학교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1988년부터 2014년까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석좌교수 및 초고기능성 소재 연구센터 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김광수 박사 연구팀은 이론/계산 화학/물리학 및 실험 나노과학 분야에서 분자간 상호 작용, 클러스터, 분자 인식, 약물 설계 및 나노물질 연구를 진행하며, 그래핀 기반 나노기술, 나노물질 합성 및 특성 연구 등 다양한 연구 업적을 달성했다. 2010년 대한민국 국가과학자로 선정되었으며,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상, 아시아-태평양 이론 및 계산 화학회 후쿠이 메달 등을 수상했다. 또한, 다수의 국제 학술지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등 나노물질 관련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 황준묵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와 소설가 한말숙의 아들이기도 한 대한민국의 수학자 황준묵은 기하학 분야에서 난제를 해결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국제 수학자 대회 초청 강연과 기조 강연,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과 호암상 과학상 수상, 아벨상 심사위원 위촉, 그리고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복소기하학 연구단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 신희섭 (신경과학자)
    신희섭은 서울대학교와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포항공과대학교, KIST, KAIST 등에서 뇌과학 연구를 선도하며 간질 및 마비 관련 유전자 발견 등 뇌 기능 조절에 미치는 칼슘 역학 변화 연구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이다.
  • 계산화학자 - 더글러스 하트리
    더글러스 하트리는 영국의 수리물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로, 원자 구조 계산, 초기 디지털 컴퓨터 개발, 하트리 방정식 유도, 미분 해석기 개발, 고전적 입자 시뮬레이션 고안, 초기 컴퓨터 개발 참여 및 하트리-포크 방법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에너지 단위인 하트리가 명명되었다.
  • 계산화학자 - 존 포플
    존 포플은 계산화학 분야에 혁신적인 공헌을 하고 Gaussian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론 화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의 이론화학자이자 수학자로, 199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화학자 - 김승희 (1954년)
    김승희는 약학 및 화학 전문가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주요 보직과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에 지명되었으나 임명되지는 못했고 현재는 법무법인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화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김광수 (화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Kwang S. Kim
Kwang S. Kim
이름김광수 (金光洙)
로마자 표기Gim Gwangsu
출생일1950년 2월 6일
국적대한민국
웹사이트슈퍼 기능성 재료 센터
학력
학사서울대학교
석사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학교
박사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2. 학력

학력
서울대학교 응용화학 학사 (1971년)
서울대학교 응용화학 석사 (1973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 석사 (197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화학 박사 (1982년)[3]


3. 경력

IBM 박사후 연구원 및 럿거스 대학교 연구 조교수로 몇 년을 보냈다.[4] 1988년부터 2014년까지 포스텍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UNIST에서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5]

기간직책기관
1975년 - 1978년강사, 조교수충남대학교 물리학과
1982년 - 1985년박사후 연구원IBM
1985년 - 1987년방문 조교수, 연구 조교수럿거스 대학교
1994년 - 1995년방문 과학자/교수MIT 물리학과
2004년 - 2005년방문 연구원컬럼비아 대학교 전기공학과 및 나노센터
1988년 - 2014년교수POSTECH 화학과
1997년 - 2014년센터장POSTECH 초고기능성 소재 연구센터(CSM)
2014년 - 현재석좌교수UNIST 화학과
2014년 - 현재센터장UNIST 초고기능성 소재 연구센터(CSM)


4. 연구 분야

김광수는 이론/계산 화학/물리학 및 실험 나노과학을 연구한다.[3] 그의 연구팀은 분자간 상호작용, 클러스터, 분자 인식, 약물 설계 및 나노물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b initio 이론,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 비평형 열역학 및 얽힘 섭동 연구를 진행한다.[6] 또한, 분자 감지 및 엔지니어링, 나노 장치, 친환경 화학, DNA 시퀀싱 및 에너지 저장을 위한 기능성 분자/재료를 개발하고 있다.[6]

연구 분야
이론/계산 화학/물리학
실험 나노과학
분자간 상호작용
클러스터
분자 인식
약물 설계
나노물질 (그래핀, 나노와이어, 나노튜브 등)
분자 감지 및 엔지니어링
나노 장치
친환경 화학
DNA 시퀀싱
에너지 저장



김광수와 그의 연구팀이 발표한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 Self-assembled nanoscale spherical lenses via near-field focusing and magnification|자기 조립된 나노 스케일 구형 렌즈를 통한 근접장 초점 및 확대영어, 네이처, 2009[6]
  • Fast DNA base sequencing with a graphene-based nanochannel device|그래핀 기반 나노채널 장치를 이용한 빠른 DNA 염기 서열 분석영어, 네이처 나노기술, 2011[6]
  • Prediction of very large values of magnetoresistance in a graphene nanoribbon device|그래핀 나노리본 장치에서 매우 큰 자기저항 값 예측영어, 네이처 나노기술, 2008[6]
  • Ultrathin single crystalline silver nanowire arrays formed in an ambient solution phase|주변 용액 상에서 형성된 초박막 단결정 은 나노와이어 어레이영어, 사이언스, 2001[6]
  • Large-scale pattern growth of graphene films for stretchable transparent electrodes|신축성 투명 전극용 그래핀 필름의 대규모 패턴 성장영어, 네이처, 2009[6]
  • Roll-to-roll production of 30-inch graphene films for transparent electrodes|투명 전극용 30인치 그래핀 필름의 롤투롤 생산영어, 네이처 나노기술, 2010[6]
  • Calix[n]imidazolium: A New Family of Positively Charged Homo-calix Compounds|칼릭스[n]이미다졸리움: 새로운 종류의 양전하를 띤 호모-칼릭스 화합물영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3[6]
  • Stable platinum nanoclusters on genomic DNA–graphene oxide with a high oxygen reduction reaction activity|높은 산소 환원 반응 활성을 가진 유전체 DNA–그래핀 산화물 상의 안정적인 백금 나노클러스터영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3[6]
  • Molecular Clusters of π-Systems:  Theoretical Studies of Structures, Spectra, and Origin of Interaction Energies|π-시스템의 분자 클러스터: 구조, 스펙트럼 및 상호작용 에너지의 기원에 대한 이론적 연구영어, 화학 리뷰, 2000[6]
  • Functionalization of Graphene: Covalent and Non-Covalent Approaches, Derivatives and Applications|그래핀의 기능화: 공유 결합 및 비공유 결합 접근법, 유도체 및 응용영어, 화학 리뷰, 2012[6]
  • Imidazolium receptors for anion recognition|음이온 인식을 위한 이미다졸리움 수용체영어, 화학회지 리뷰, 2006[6]
  • Water-dispersible magnetite-reduced graphene oxide composites for arsenic removal|비소 제거를 위한 수분산성 자철광-환원 그래핀 산화물 복합체영어, ACS 나노, 2010[6]
  • Two-Dimensional Molecular Electronics for Molecular Fingerprint, DNA Sequencing, and Cancerous DNA Recognition|분자 지문, DNA 염기 서열 분석 및 암성 DNA 인식을 위한 2차원 분자 전자 분광법영어, ACS 나노, 2014[6]
  • Limits of metastability for the liquid and vapor phases of water|물의 액체 및 증기 상에 대한 메타 안정성의 한계영어, 물리적 검토 레터, 2014[6]
  • Self-Assembled Array of Organic Nanotubes with Infinitely Long One-Dimensional H-Bond Chains|무한히 긴 1차원 수소 결합 사슬을 가진 유기 나노튜브의 자체 조립 어레이영어, J. Am. Chem. Soc.|J. Am. Chem. Soc.영어, 2001[6]
  • In-situ high-temperature crystallographic observation of reversible guest adsorption in a non-porous organic cage|불침투성 유기 케이지에서 가역적 기체 흡착의 고온 현장 결정학적 관찰영어,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 2015[6]

5. 주요 연구 업적

김광수 박사 연구팀은 이론/계산 화학 및 물리학, 실험 나노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분자간 상호 작용, 클러스터, 분자 인식, 약물 설계, 나노물질 등에 대한 연구에서 ab initio 이론,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 비평형 열역학, 얽힘 섭동 연구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했다.[6]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연구 업적저널기타
2011그래핀 기반 나노채널 장치를 이용한 빠른 DNA 염기 서열 분석네이처 나노기술
2008그래핀 나노리본 장치에서 매우 큰 자기저항 값 예측네이처 나노기술김우연, 김광수 공동 연구
2001주변 용액 상에서 형성된 초박막 단결정 은 나노와이어 어레이 합성사이언스
2009신축성 투명 전극용 그래핀 필름의 대규모 패턴 성장 기술 개발네이처
2010투명 전극용 30인치 그래핀 필름의 롤투롤 생산 기술 개발네이처 나노기술
2013Calix[n]imidazolium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양전하를 띤 호모-칼릭스 화합물 발견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3유전체 DNA–그래핀 산화물 상의 안정적인 백금 나노클러스터 개발 (높은 산소 환원 반응 활성)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4분자 지문, DNA 염기 서열 분석 및 암성 DNA 인식을 위한 2차원 분자 전자 분광법 개발ACS 나노
2015불침투성 유기 케이지에서 가역적 기체 흡착의 고온 현장 결정학적 관찰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


6. 수상 및 서훈

연도수상 및 서훈 내역
2001년대한화학회 학술상
2004년대한민국 과학상 (대통령상)
2009년국제 양자 분자 과학 아카데미(IAQMS) 회원 선정[9]
2009년 - 2014년포스텍 펠로우
2010년아시아-태평양 이론 및 계산 화학회(APATCC) 후쿠이 메달[8]
2010년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상
2010년대한민국 국가과학자
2011년멀리컨 강연 (조지아 대학교, 미국)
2011년H-index 랭킹 화학자 상위 500위 (영국 Chemistry World, 한국인 유일)[7]


7. 국제 학술지 편집/자문위원


  • 계산 화학 저널(Wiley-VCH) (2005년-현재)
  • Chemistry-An Asian Journal (Wiley-VCH) (2006년-2013년)
  • 전산 및 이론 화학 (엘스비어) (2007년-현재)
  • Advances in Physical Chemistry (힌다위) (2008년-현재)
  • Chemical Physics Letter (엘스비어) (2009년-현재)
  • NPG 아시아 머티리얼스 (네이처 출판 그룹) (2009년-현재)
  • 화학회지 (일본 화학회) (2010년-현재)
  •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Computational Molecular Science (와일리) (2011년-현재)
  • Journal of Physics Chemistry A, B, C (미국 화학회) (2015년-현재) - 수석 편집자
  • 대한화학회지 (2000년-2009년) (부편집장)

8. 특허

출원 번호특허 번호등록일등록 국가특허명
10-2009-0084121 (2009.9.7)10-11664152012년 7월 11일대한민국자기 조립 공정을 통한 나노 스케일 렌즈의 합성 및 응용[1]
10-2011-0056530 (2011.06.10)10-129722262013년 8월 9일대한민국그래핀 나노리본을 이용한 초고속 염기서열 분석 소자 및 방법[2]
12/412,984, PCT/US2007/020778 (60/848,023); (2007.9.27)US 8,080,281 B22011년 12월 20일미국초장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 및 응용[3]
13/279,291 (2011.10.23)
10-2008-007741410-09806802010년 9월 1일대한민국그래핀 나노리본을 이용한 스핀밸브 소자[5]
EP 1264919; 02 002 096.2 (2002.12)
2000-01-12-4239 (2000.06)--대한민국저작권 S/W: POSMOL (포항 과학 기술 분자 모델링 패키지)[7]


참조

[1] 웹사이트 CSM - Center for Superfunctional Materials http://csm.unist.ac.[...] Csm.unist.ac.kr 2015-11-08
[2] 웹사이트 김빛내리씨 등 5명 '국가과학자' 선정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5-11-19
[3] 웹사이트 CSM - Center for Superfunctional Materials http://csm.unist.ac.[...]
[4] 웹사이트 Kwang S. Kim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on ResearchGate - Expertise: Theoretical Chemistry, Physical Chemistry, Green Chemistry https://www.research[...] 2015-11-08
[5] 웹사이트 Faculty Members http://chemistry.uni[...] Chemistry.unist.ac.kr 2015-11-08
[6] 웹사이트 CSM - Center for Superfunctional Materials http://csm.unist.ac.[...]
[7] 웹사이트 Accredited Degree Programmes http://www.rsc.org/i[...]
[8] 웹사이트 AWARDS http://www.apatcc.or[...]
[9] 웹사이트 International Academy of Quantum Molecular Science http://www.iaqms.org[...]
[10] 웹사이트 CSM - Center for Superfunctional Materials http://csm.unist.ac.[...]
[11] 웹사이트 CSM - Center for Superfunctional Materials http://csm.unist.ac.[...] Csm.unist.ac.kr 2015-11-08
[12] 웹사이트 김빛내리씨 등 5명 ‘국가과학자’ 선정 https://www.hani.co.[...] 2023-07-28
[13] 웹사이트 AWARDS http://www.apatcc.or[...] 2023-07-28
[14] 웹사이트 International Academy of Quantum Molecular Science https://www.iaqms.or[...] 2023-07-28
[15] 웹인용 김빛내리씨 등 5명 '국가과학자' 선정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5-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